본문 바로가기
  • Computer & Rose
반응형

+ 리눅스6

[리눅스] 시스템 종료 터미널 / 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리눅스를 사용하다가 종료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shutdown -h now" 또는 "halt" 또는 "init 0"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hutdown -h now[옵션] 중에서 ''now"부분에 시간을 지정하면, 지정한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합니다.[예시] # shutdown -h +10           10분 후에 종료 (h : halt)          # shutdown -r 22:00         오후 10시에 재부팅 (r : reboot)          #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 취소 (c : cancel)          # shutdow.. 2024. 11. 29.
[리눅스] deluser 및 userdel 사용법 사용자 계정 삭제계정 삭제 역시 deluser와 userdel 두 가지 명령어가 있습니다.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deluserdeluser는 --remove-all-files 옵션을 주면 사용자 계정의 모든 파일을 삭제해 줍니다.# deluser --remove-all-files  2. userdeluserdel 명령어는 -r 옵션을 붙이면 홈 디렉토리와 메일을 삭제해 줍니다.sudo userdel -r 2024. 11. 25.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useradd, adduser 사용법 리눅스 사용자 계정의 관리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포함합니다.1. 사용자 계정의 생성 및 삭제2. 사용자 계정의 권한 설정3.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설정 및 변경  계정 생성계정을 새로 생성하는 명령어로는 useradd와 adduser가 있습니다.이름도 비슷한 이 두 명령어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1. useradduseradd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홈 디렉토리를 수동으로 생성해주어야함. (-m 옵션을 붙이면 자동 생성)비밀번호를 수동으로 설정해주어야함. (passwd 명령어를 사용)기본 쉘을 sh로 설정.특정 파일 시스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passwd명령어와 chown, chmod 명령어 등을 사용할수 있음.useradd 명령어는 root 계정으로만 명령어 수행이 가능합니다.옵션내.. 2024. 11. 24.
[리눅스] SSH로 서버에 접근시, /usr/bin/xauth: file ${PATH}/.Xauthority does not exist 오류 해결법 명령창에 xauth를 실행한 후, info 명령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나타나며 Ctrl + C를 실행하고 빠져나온다.  명령창에서 ls -al /home/chrispy(본인의 계정 디렉토리)/.Xauthority를 확인하면 파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ssh 재접근 시 다시 나타나지 않게 된다. 2024. 11. 23.
[리눅스] 리눅스 파일 압축 및 해제 (tar 명령, gzip/unzip, bzip2/bunzip2, xz/unzx) ▣ tar (Tape ARchiver) 명령어tar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들을 조합하여 tar라는 이름으로 명명됩니다.보통 리눅스에서 파일을 압축 파일을 다룰 때, "tar로 압축(compress)한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히 말하자면 tar 자체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파일 압축"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앞서 설명했듯이,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는 용도로 사용될 뿐입니다. 대신, tar를 통해 하나로 합쳐진 파일을 gzip 또는 bzip2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할 수 있는데, 이 때 gzip 또는 bzip2 명령을 따로 수행하지 않고 tar 명령의 옵션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2022. 12. 18.
[리눅스] Linux 시스템 각종 hardware 및 software 정보 보기 Linux 시스템 각종 hardware 및 software 정보 보기에 관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시스템 정보를 얻고 싶을 때 사용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arch # show architecture of machine(1) [man]$ cal 2022 # show the timetable of 2022 [man]$ date # show system date [man]$ date 041217002007.00 # set date and time -MonthDayhoursMinutesYear.Seconds [man]$ clock -w save date # changes on BIOS [man]$ dmidecode -q # show hardware system components -.. 2022.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