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 / 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
리눅스를 사용하다가 종료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shutdown -h now" 또는 "halt" 또는 "init 0"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shutdown -h now |
[옵션] 중에서 ''now"부분에 시간을 지정하면, 지정한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예시] # shutdown -h +10 10분 후에 종료 (h : halt)
# shutdown -r 22:00 오후 10시에 재부팅 (r : reboot)
#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 취소 (c : cancel)
# shutdown -k now 현재 접속자에게 종료 메시지만 보내며, 실제로 종료는 안됨
# halt |
# init 0 |
시스템 재부팅
시스템을 종료하지 않고 재부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hutdown -r now" 또는 "reboot" 또는 "init 6"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shutdown -r now |
# reboot |
# init 6 |
로그아웃
시스템상에서 로그아웃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logout" 또는 "ex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logout |
# exit |
int 명령어 정리
int 명령어는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리눅스는 시스템이 가동되는 방법을 7가지로 나누며, 이를 런레벨(Runlevel)이라고 부릅니다. 리눅스의 런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
Runlevel | 내용 |
0번 | 종료모드 |
1번 | 단일 사용자 모드(시스템 복구 시에 주로 사용) |
2번 | NFS 없는 다중 사용자 모드 (잘 사용하지 않음) |
3번 |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
4번 | 사용하지 않음 |
5번 | X 윈도우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
6번 | 재부팅 모드 |
이상으로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인 종료와 재부팅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하였습니다.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deluser 및 userdel 사용법 (0) | 2024.11.25 |
---|---|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useradd, adduser 사용법 (0) | 2024.11.24 |
[리눅스] SSH로 서버에 접근시, /usr/bin/xauth: file ${PATH}/.Xauthority does not exist 오류 해결법 (0) | 2024.11.23 |
[리눅스] 리눅스 파일 압축 및 해제 (tar 명령, gzip/unzip, bzip2/bunzip2, xz/unzx) (0) | 2022.12.18 |
[리눅스] Linux 시스템 각종 hardware 및 software 정보 보기 (0) | 2022.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