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령창에 xauth를 실행한 후, info 명령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나타나며 Ctrl + C를 실행하고 빠져나온다.
명령창에서 ls -al /home/chrispy(본인의 계정 디렉토리)/.Xauthority를 확인하면 파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ssh 재접근 시 다시 나타나지 않게 된다.
반응형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시스템 종료 (0) | 2024.11.29 |
---|---|
[리눅스] deluser 및 userdel 사용법 (0) | 2024.11.25 |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useradd, adduser 사용법 (0) | 2024.11.24 |
[리눅스] 리눅스 파일 압축 및 해제 (tar 명령, gzip/unzip, bzip2/bunzip2, xz/unzx) (0) | 2022.12.18 |
[리눅스] Linux 시스템 각종 hardware 및 software 정보 보기 (0) | 2022.12.11 |
댓글